2025년부터 시행되는 다양한 복지정책중에 첫 자녀 출산지원 정책은 꼭 필요한 정책중에 하나라는 생각입니다. 첫째 아이에게도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면서 지원해 주는 정책은 예비부모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정책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첫만남이용권 정책 개요
지원 대상
-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하여 주민등록이 완료된 모든 출생아
지원 내용
- 첫째아: 200만 원 바우처 지급
- 둘째아 이상: 300만 원 바우처 지급
- 일부 지자체에서는 첫째아에도 300만 원을 지원하는 추가 혜택을 제공하기도 함
사용 기간 및 범위
- 지급일부터 2년 이내 사용 가능
- 유흥·사행·마사지·레저·성인용품·면세점 등 일부 업종 제외

부모급여 및 기타 양육수당
부모급여
- 0세(0~11개월): 월 100만 원 현금 지원
- 1세(12~23개월): 월 50만 원 현금 지원
양육수당
- 가정양육 아동(24개월~만 5세): 월 10만 원 지급

지방자치단체별 추가 지원
서울시
- 무주택 출산가구 대상 주거비: 자녀당 월 30만 원, 최대 24개월(총 720만 원)
- 일부 자치구에서 첫째아 출산장려금 별도 지원(구마다 상이)
인천시
- 출산축하금: 첫째아 150만 원(기본), 위기 가구 긴급지원 최대 300만 원
- 맘편한 산후조리비: 150만 원 지원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정부24·지자체 누리집
- 오프라인: 주민센터 방문(출생 신고 시 동시 신청 가능)
결론
중앙정부의 ‘첫만남이용권’은 첫째아 200만 원, 둘째아 이상 300만 원을 기본으로 하지만, 서울시·인천시 등 주요 지자체에서는 첫째아 대상 추가 지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지원 금액과 신청 절차는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정부24를 통해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