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를 말할 때 주자에 대한 기록을 이해하는 것은 전반적인 야구 흐름에 대한 공부에서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 이다. 단순한 논리로 뛰고 달리고 득점을 해야 이기는 경기에서 주자는 그만큼 중요한 핵심 요소 중 하나 인 것이다. 우리가 경기 중 승부처라고 생각하는 순간에 벤치에서 대주자를 기용하는 이유도 주자 능력에 따라 승리가 좌지우지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 것이다. 오늘은 주자 기록 이해로 다양한 주자 기록에 대해 알아보자

야구용어도루, 도루, 야구규칙
도루란 무엇인가?

주자 기록 도루, 도루 실패, 오버런

도루(Stolen base)

주자가 안타, 풋아웃, 실책, 포스 아웃, 야수선택, 패스트볼, 와일드 피치, 보크에 의하지 않고 1개 베이스를 갔을 때 도루가 기록되는 것을 말한다.

  1. 주자가 투수의 투구에 앞서 다음 베이스를 향하여 스타트하였을 때 마침 그 투구가 와일드 피치나 패스트볼로 기록될 만한 것이었다 하더라도 미스 플레이는 기록하지 않고 주자에게 도루를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 미스 플레이의 결과 도루를 시도한 주자가 목표한 베이스보다 더 많이 진루하거나 다른 주자가 진루하였을 경우, 도루와 함께 와일드 피치 또는 패스트볼을 기록한다.
    • 홈스틸인 경우, 3루주자가 투구 전에 스타트했더라도 와일드 피치 또는 패스트볼의 도움 없이 득점할 수 있었다고 공식기록원이 판단하였을 경우에 한하여 그 주자에게 도루를 기록한다.
  2. 주자가 도루를 시도했을 때 투구를 받은 포수가 도루를 막으려고 던진 것이 악송구가 되더라도 도루만 기록한다. 그러나 그 악송구를 이용하여 도루를 시도한 주자가 목표한 베이스보다 더 많이 진루하거나 다른 주자가 잔루하였을 경우, 도루를 시도한 주자에게 도루를 기록하는 동시에 그 포수에게도 실책을 기록한다.
  3. 도루를 시도하거나 또는 견제구에 의해 런다운(Run-down) 플레이에 걸린 주자가 아웃당하지 않고 수비 측의 실책 없이 다음 베이스에 진루하였을 경우, 도루를 기록한다. 그 플레이 중 다른 주자가 진루하면 그 주자에게도 도루를 기록한다. 또, 도루를 시도한 주자가 수비 측의 실책 없이 런다운 플레이에서 아웃당하지 않고 본래의 베이스로 될돌아가는 사이 다른 주자가 진루하였다면 진루한 주자에게 도루를 기록한다.
  4. 더블 스틸, 트리플 스틸에서 어느 주자가 가려고 한 베이스에 닿기 전이거나 베이스에 닿은 뒤 오버슬라이딩 야수의 송구에 의해 아웃되었을 때는 어느 주자에게도 도루가 기록되지 않는다.
야구용어,야구용어도루
도루의 이해
  1. 도루를 시도한 주자가 오버슬라이딩한 뒤 그 베이스로 되돌아가거나 다음 베이스로 가려고 하다가 태그 아웃된 경우, 도루를 기록하지 않는다.
  2. 정확하게 송구한 공을 야수가 놓쳤기 때문에 도루를 시도한 주자가 살았다고 공식기록원이 판단하였을 때는 송구를 놓친 야수에게는 실책을, 송구한 야수에게는 어시스트를 각각 기록하며 주자에게는 도루실패를 기록한다.
  3. 주자가 단순히 수비 측의 무관심을 틈타 진루하였을 경우, 도루를 기록하지 않고 무관심 진루 또는 야수선택(도루시도가 아닌 경우)으로 기록한다.

도루실패(Caught stealing)

  1. 다음에 해당하는 주자가 아웃되거나 실책이 없었더라면 아웃되었을 경우, 그 주자에게 도루실패를 기록한다.
    • 도루를 시도하였을 경우
    • 견제구에 걸린 뒤 진루하려고 했을 경우(다음 베이스로 가려고 했던 어떠한 움직임도 진루하려는 의도로 간주한다)
    • 도루할 때 오버슬라이딩하였을 경우

오버런(Over run)과 오버슬라이딩(Over slinding)

  1. 오버런 – 타주주자 또는 주자에 관련된 그 어느 경우이든 오버런은 그 루를 확보한 것으로 인정한다.
  2. 오버슬라이딩

가)오버슬라이딩된 루를 확보한 것으로 보는 경우

  1. 주자와 관련된 타자의 안타 판정: 안타성 타구를 내야수가 다루었을 때 누상에 나가 있던 주자가 다음루에서 오버슬라이딩한 뒤 태그 아웃이 되면 그 주자는 다음 루를 확보한 것으로 간주해 타자에게 안타로 기록한다.
  2. 주자와 관련된 타자의 루타수 판정: 루타수 결정에 있어서 2루타성 타구 때 1루주자가 3루에서 오버슬라이딩한 뒤 태그 아웃되고 타자주자는 2루에서 살았을 때 주자가 타자의 타구에 의해 2개의 루를 진루한 것으로 인정해 타자에게는 2루타로 기록한다.
  3. 주자와 관련된 타자의 희생타(번트) 판정: 타자의 희생번트 타구 때 누상의 주자가 다음 루에서 오버슬라이딩한 뒤 태그 아웃이 된 경우에는 주자가 타자의 번트를 이용해 다음 루를 진루한 것으로 인정해 타자에게는 희생타를 기록한다.
  4. 주자와 관련된 타자의 병살타 판정: 무사 또는 1사 때 주자 포스상황에서 타자의 땅볼 타구로 타자주자 또는 후위주자가 먼저 아웃이 되고 계속해서 선행주자를 태그 아웃 시키려는 경우의 리버스 포스 더블 플레이 때 선행주자가 다음 루에서 오버슬라이딩한 뒤 태그아웃이 된 경우, 그 루를 점유한 것으로 간주해 타자에게 병살타를 기록하지 않는다.

나)오버슬라이딩된 루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는 경우

  1. 타자 자신의 장타(루타수) 결정: 타자가 2루타 이상의 장타를 치고 나서 2루 또는 3루에서 오버슬라이딩한 뒤 태그 아웃이 된 경우, 촉루 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루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해 그 이전의 루까지만을 타자의 루타수로 인정한다.
  2. 주자 자신의 도루 판정: 도루를 시도하던 주자가 2루 또는 3루에서 오버슬라이딩한 뒤 태그 아웃이 된 경우, 촉에 관계없이 그 주자의 도루는 인정하지 않는다. 한편, 타자주자가 1루를 향해 뛰어가는 경우에는 1루로 곧바로 돌아오는 것을 전제로 오버런 또는 오버슬라이드가 허용된다. 이때에는 태그를 당하여도 아웃이 되지 않는다. 본루에서의 오버런 또는 오버슬라이드라면 그 자체가 이미 루의 점유를 완료한 것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아웃될 염려는 없다.
  3. 와일드 피치 또는 패스트볼에 관련된 판정: 투수의 투구결과 와일드 피치나 패스트볼이 발생한 경우, 그 와일드 피치나 패스트볼을 이용해 누상의 주자가 다음 루(2루 또는 3루)를 노리다 오버슬라이딩한 뒤 태그 아웃이 되었을 경우에는 그 루를 점유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해 와일드 피치나 패스트볼에 의한 진루로 기록하지 않는다.
야구용어,도루,오버슬라이딩
오버슬라이딩

마치며

야구 규칙에 대한 이해는 알면 알수록 헷갈리는 부분이다. 특히나 야구경기를 직접적으로 많이 본 분들이라면 이해하는 것이 어렵지 않겠지만, 경기는 모르고 이론으로만 접한 분들이라면 위에 용어들이 이해가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주자, 도루에 대한 용어들을 천천히 해석해보고 야구 경기를 보면서 상황을 대비해 본다면 많은 것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imilar Posts